동방미디어 주식회사

KoreaA2Z
메뉴 검색

제품소개
Product Descriptions

  • 미셸푸코 가로지르기
    ㆍ제1강 광기와 문화: 『정신병과 인격』, 『정신병과 심리학』 - 푸코의 생애와 저작 활동 - 푸코의 메타 파톨로지(metapathalogie) 비판 - 1954년에서 1962년까지의 푸코 사유의 변화 - 격리되는 광인들 - 정신병은 왜 생기는가 - 정신병을 어떻게 고칠 것인가 - 광기와 문화 ㆍ제2강 정신병리학의 계보학: 『광기의 역사』 - 광기의 근원적 경험 - 前-고전주의시대의 광기의 경험 - 고전주의 시대의 광기의 경험 - 근대의 광기경험: 정신병동의 탄생 ㆍ제3강 의학적 시선의 고고학: 『임상의학의 탄생』 I - 『임상의학의 탄생』과『레이몽 루셀』 - 18세기 분류 의학 - 『임상의학의 탄생』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- 임상의학을 둘러싼 제도의 문제 - 의학의 사회 정치적 역할과 생명 의식 ㆍ제4강 의학적 시선의 고고학: 『임상의학의 탄생』 II - 보건 정책의 핵심과 영향 - 질병의 인식론적 재구성 - 언어 속에서 체험되는 죽음 - 사체 해부와 언어의 죽음 - 정신병리학의 탄생 ㆍ제5강 언어와 인간: 『말과 사물』 - 르네상스 시대의 에피스테메 - 고전주의 시대의 에피스테메 - 에피스테메 변동에 의한 담론의 변화 - 지식의 공간과 인간의 시간성 - 인간과학의 고고학 - 『말과 사물』에 나타난 푸코의 언어관 ㆍ제6강 근대 권력과 성의 계보학: 『감시와 처벌』, 『성의 역사 1-앎의 의지』I - 감옥과 처벌의 외형적 변화 - 감옥의 등장, 훈육과 규범 - 일망 감시체제: 판옵티즘 - 감시의 내재화 ㆍ제7강 근대 권력과 성의 계보학: 『감시와 처벌』, 『성의 역사 1-앎의 의지』II - 생체통제권력 bio-pouvoir - 근대 권력의 계보학 - 생체관리권력과 성적 욕망의 장치 - 성은 억압되었는가? ㆍ제8강 자기 윤리와 실존의 미학: 『쾌락의 활용』, 『자기에의 배려』I - 『성의 역사 1권-앎의 의지』는 무엇을 말하고 있나 - 생체관리권력과 개인 - 『성의 역사 2권-쾌락의 활용』이 나오기까지 - 해방의 가능성: 자기 변형 ㆍ제9강 자기 윤리와 실존의 미학: 『쾌락의 활용』, 『자기에의 배려』II - 『성의 역사 2, 3권』에 있어 실존의 미학 - 윤리적 실체: 존재론 - 예속의 양태: 본분론 - 자기 관계의 형식: 금욕론 - 목적론 ㆍ제10강 푸코의 비법률적 권력개념: 『사회를 보호해야 한다』 - 클라우제비츠 논지의 전복 - 인종투쟁의 반역사성 - 인종주의의 탄생과 그 변용 - 인종의 순수성과 국가 인종주의: 나치적 변용과 소비에트적 변용 ※ 『사회를 보호해야 한다』텍스트 읽기 ㆍ제11강 자기 배려의 계보학: 『주체의 해석학』I - 자기 인식과 자기 배려 - 자기 배려란 무엇인가 - 자기 배려를 선동한 최초의 인물, 소크라테스 - 고대 사회의 보편적인 자기 배려 ㆍ제12강 자기 배려의 계보학: 『주체의 해석학』II - 주체의 계보학 혹은 자기 배려의 계보학 - 자기 관계의 방식: 실존의 기술 - 자기 배려가 억압된 세 가지 이유 - 근대 주체화 방식의 불안정성 - 새로운 형식의 투쟁: 실천적 자기 개혁 ㆍ제13강 근대 비정상의 계보학: 『비정상인들』I - 세 종류의 비정상인들: 인간 괴물, 교정해야 할 개인, 자위 행위자 - 사법적-생물학적 인간 괴물 - 고전주의 법 안에서의 범죄와 처벌 - 권력 메커니즘의 변화 - 정치적 괴물: 괴물 부부, 군주와 민중에서의 괴물 - 근친상간과 식인 풍습 - 범죄정신의학을 창시한 세 명의 괴물 - 이유 없는 범죄와 정신의학 확립의 신고식 ※ 『비정상인들』 텍스트 읽기 ㆍ제14강 근대 비정상의 계보학: 『비정상인들』II - 정신의학, 비정상의 과학과 기술이 되다 - 어린이의 성적 몸의 등장: 자위 행위자 - 혼합적 인물의 예: 샤를 주이 사건 - 새로운 권력 통제 제도에 연결된 가정 - 어린이의 정신의학화 - 19세기 중반에 대대적으로 구축된 정신의학 이론 - 정신의학과 인종주의 ※ 『비정상인들』 텍스트 읽기 ㆍ제15강 근대 정신병리학 권력의 해부학: 『정신병리학의 권력』 I - 정신병을 바라보는 푸코 사유의 변화 - 『광기의 역사』에 나타난 시대별 광기의 표상 - 권력 장치의 문제로 옮아간 정신병리학 - 병원의 기능과 임상의학의 탄생 - 파스퇴르의 미생물학이 지닌 전복적 가치 ㆍ제16강 근대 정신병리학 권력의 해부학: 『정신병리학의 권력』 II - 고전주의 시대의 광기와 광증 치료 - 19세기 이후 정신병동의 도덕 요법 - 정신병동: 환자와 의사의 대결의 장 - 정신병리학의 과잉 권력 - 근대 반정신병리학 운동의 흐름
    GO
  • 베르그송주의자-되기
    ㆍ제1강 들뢰즈/가타리 사유 개관 - 강의 오리엔테이션 - 들뢰즈와 가타리의 존재론 - 『차이와 반복』: 깊이의 철학 - 『의미의 논리』: 표면의 철학 - 탈기관체 개념 ㆍ제2강 복잡성과 유기체 - 기계적 배치의 한 요소로서의 인간 - 인간과 환경 - 공재면과 내재면 - 복잡성 이론, 자기조직화 이론 - 생명체의 활동: 진화 가능성의 조건 ㆍ제3강 탈기관체와 유기체 - 들뢰즈/가타리의 환원주의 비판 - 층화의 세 양태: 유기체화, 기표화, 주체화 - 강도와 특이성 - 탈기관체: 욕망의 장(場) - 탈기관체와 유기체의 관계 ㆍ제4강 복수성: 베르그송과 다윈 I - 수적, 공간적, 현실적 복수성 / 질적, 시간적, 잠재적 복수성 - 생성하는 다양체 - 베르그송과 들뢰즈의 차이 ㆍ제5강 복수성: 베르그송과 다윈 Ⅱ - 소산적 수와 능산적 수 - 강도: 수학적 환원주의의 거부 - 다양체의 선들과 차원 - 생물학적 관점에서 본 복수성 - 리좀학: 반계보학 ㆍ제6강 공재면, 창조적 첩화 I - 공재면으로서의 자연 - 내재면과 일의면 - 혼동하기 쉬운 개념들 ㆍ제7강 공재면, 창조적 첩화 Ⅱ - 들뢰즈 사유의 구도와 독특한 경향성 - 창조적 첩화 - 횡단적 소통들 - 동물-되기 - 유행성 변화: 리좀적 방식의 진화 ㆍ제8강 자기조직화와 기계적 이질생성 - 지금까지 배운 내용 복습 - 자기조직화와 기계적 이질생성 개념 - 횡단적 소통 - 기계적 배치와 ‘창조적 진화’ ㆍ제9강 ‘behaviour’의 행동학에서 배치들의 행동학으로 I - ‘behaviour’의 의미 - 동물 행동학 - 배치들의 운동에 대한 담론 ㆍ제10강 ‘behaviour’의 행동학에서 배치들의 행동학으로 Ⅱ - 로렌츠나 틴버겐의 동물 행동학 - 진화의 창조적 양태 - 생명과 생성 - 행동에서 배치로 ㆍ제11강 동물-되기 - 의식적인 동물-되기와 자연세계의 동물-되기 - 동물-되기, ‘감응’의 문제 - 배치들 사이에서의 사건 - 둔스 스코투스 ‘이것’ - 무의식과 욕망 ㆍ제12강 기억을 넘어선 되기들 I - 바이스만의 생식질 개념 - 탈기관체: 탈아적 알, 강도적 유아 - 토마스 하디의 『테스』에 나타난 결정론 - 로렌스: 생명은 탄력적이고 불연속적이다 ㆍ제13강 기억을 넘어선 되기들 Ⅱ - 『테스』를 읽는 다른 방식 - 글쓰기=되기 - 기억을 넘어선 되기 ㆍ제14강 절대적 탈영토화로서의 철학 - 들뢰즈/가타리의 『철학이란 무엇인가?』 - ‘절대적 탈영토화’로서의 철학에 정치적 과제 부과 - 철학, 현재에의 저항 - 새로운 베르그송주의
    GO
  • 불교철학입문Ⅰ
    ㆍ제1강 불교란 무엇인가 - 불교는 종교인가, 철학인가 - 데카르트의 명제가 불교를 만났을 때 - 십이처설을 통해 본 불교의 세계관 ㆍ제2강 불교 발생 당시의 내부 엿보기 - 불교와 타 종교와의 차이점 - 불교와 기독교의 근본적인 차이점 - 붓다도 전두엽에 상처를 입으면 중생이 되는가 - 서양식 사고관이 불교를 이해하는데 장애가 되는가 - 불교 내부 이야기: 중도(中道)의 세 구분: 고락중도, 단상중도, 우연론과 결정론의 중도 ㆍ제3강 불교 성립의 시대적 배경 - ‘무아’의 개념 이해 - 윤회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- 불교에도 신은 존재하는가 - 불교의 발원 - 붓다가 등장할 시기의 사회적 배경 - 출가 고행하는 사문의 등장 ㆍ제4강 불교 모두의 공통된 기반 - 중도(中道)의 세 구분 중 우연론과 결정론의 중도 - 불교사 고증의 어려움 - 공통된 기반이 되는 가르침: 오온, 사성제, 12연기 - 오온의 다섯 가지 요소: 색, 수, 상, 행, 식 ㆍ제5강 오온과 12연기 - 오온(五蘊), 12처(十二處), 18계(十八界) - 12연기: 무명, 행, 식, 명색, 육입, 촉, 수, 애, 취, 유, 생, 노사 - 定과 慧 - ‘깨달음’에 대해서 - 지혜를 얻으면 12연기의 사슬이 끊어져버리는가? ㆍ제6강 사성제 - 고집멸도(苦集滅道) - 붓다의 깨달음과 첫 설법 - 사성제: 고제- 사고(四苦), 팔고(八苦), 3종고 - 사성제: 집제- 고의 원인 - 사성제: 멸제- Nirvana - 사성제: 도제- 팔정도(八正道) - 삼학: 계(戒), 정(定), 혜(慧) ㆍ제7강 팔정도(八正道) - dharma(法)의 두 가지 의미 - 불교에서의 ‘신’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- 팔정도(八正道): 정견(正見), 정사(正思), 정언(正言), 정업(正業), 정명(正命), 정정진(正精進), 정념(正念), 정정(正定) - 미국 젠 센타의 실험 사례 ㆍ제8강 불교사상사 I - 불교가 절대자가 없음에도 넓게 전파된 이유 - 해탈하는 자는 누구나 신이 되는가 - 정정에서 정견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은 무수히 반복되는가 - 근본불교, 초기불교, 부파불교, 상좌부, 대중부, 소승불교, 대승불교 - 불교의 전파와 중앙아시아 - 밀교, 선불교 - 대승불교로의 변화: 종교적 이상 변화 ㆍ제9강 불교사상사 II - 10사의 정법 인정과 5사의 해석 - 길에서 붓다를 만나면 붓다를 죽여라? - 현대 사회에서의 체득 방법 - 대승불교의 배경 - 대승불교로의 변화에서 주목할 요소들: 종교적 이상 변화, 법의 변화, 불신관의 변화 ㆍ제10강 법(dharma)의 두 가지 의미 - 도가의 무위와 불교의 열반 - 옴마니반메훔 - ‘불성’의 의미 - 기독교가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에 대해 - 법(dharma)의 두 가지 의미: ① 붓다의 가르침, ② 존재의 궁극적 요소 ㆍ제11강 위빠사나 수행에 관하여 [특강] - 위빠사나란 무엇인가 - 6바라밀과 8정도 - 대승불교와 초기불교의 차이점 - 위빠사나 수행의 방법 - 수(受)와 상(想)의 구분 - ‘깨달음’에 대한 논의들 ㆍ제12강 초기 불교의 禪 [특강] - 禪이란 무엇인가 - 초기 불교의 禪 - 초기 경전을 통해 본 禪: 《沙門果經》 ㆍ제13강 불교와 몸 [그룹 프로젝트] - 초기 불교에서는 몸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- 몸에서 욕망은 비롯되는가? - 불교 역사 속의 젠더 - 불교 미술에 드러난 몸 - 섹스와 죽음의 긍정 ㆍ제14강 불교의 자연관 [그룹 프로젝트] - 초기 불교의 자연관 - 대승 불교의 자연관 - 환경운동의 주요이론과 불교의 세계관 - 실천으로서의 불교에 대한 비판적 고찰 ㆍ제15강 마르크스, 프롬, 붓다 [그룹 프로젝트] - Marxism 과 행복론 - 인간존재와 만나는 에리히 프롬 -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불교에서 제시한 방법 ㆍ제16강 불살생계의 파계가 정당화될 수 있는가 [그룹 프로젝트] - 계율의 성립과 변천 과정 - 파계 정당화의 가능성과 기준 - 불살생계의 지계와 파계의 역사적 분석 - 불살생계의 현대적 의미: 달라이 라마의 비폭력주의에 관련해
    GO
  • 베르그송주의자-되기
    ㆍ제1강 들뢰즈/가타리 사유 개관 - 강의 오리엔테이션 - 들뢰즈와 가타리의 존재론 - 『차이와 반복』: 깊이의 철학 - 『의미의 논리』: 표면의 철학 - 탈기관체 개념 ㆍ제2강 복잡성과 유기체 - 기계적 배치의 한 요소로서의 인간 - 인간과 환경 - 공재면과 내재면 - 복잡성 이론, 자기조직화 이론 - 생명체의 활동: 진화 가능성의 조건 ㆍ제3강 탈기관체와 유기체 - 들뢰즈/가타리의 환원주의 비판 - 층화의 세 양태: 유기체화, 기표화, 주체화 - 강도와 특이성 - 탈기관체: 욕망의 장(場) - 탈기관체와 유기체의 관계 ㆍ제4강 복수성: 베르그송과 다윈 I - 수적, 공간적, 현실적 복수성 / 질적, 시간적, 잠재적 복수성 - 생성하는 다양체 - 베르그송과 들뢰즈의 차이 ㆍ제5강 복수성: 베르그송과 다윈 Ⅱ - 소산적 수와 능산적 수 - 강도: 수학적 환원주의의 거부 - 다양체의 선들과 차원 - 생물학적 관점에서 본 복수성 - 리좀학: 반계보학 ㆍ제6강 공재면, 창조적 첩화 I - 공재면으로서의 자연 - 내재면과 일의면 - 혼동하기 쉬운 개념들 ㆍ제7강 공재면, 창조적 첩화 Ⅱ - 들뢰즈 사유의 구도와 독특한 경향성 - 창조적 첩화 - 횡단적 소통들 - 동물-되기 - 유행성 변화: 리좀적 방식의 진화 ㆍ제8강 자기조직화와 기계적 이질생성 - 지금까지 배운 내용 복습 - 자기조직화와 기계적 이질생성 개념 - 횡단적 소통 - 기계적 배치와 ‘창조적 진화’ ㆍ제9강 ‘behaviour’의 행동학에서 배치들의 행동학으로 I - ‘behaviour’의 의미 - 동물 행동학 - 배치들의 운동에 대한 담론 ㆍ제10강 ‘behaviour’의 행동학에서 배치들의 행동학으로 Ⅱ - 로렌츠나 틴버겐의 동물 행동학 - 진화의 창조적 양태 - 생명과 생성 - 행동에서 배치로 ㆍ제11강 동물-되기 - 의식적인 동물-되기와 자연세계의 동물-되기 - 동물-되기, ‘감응’의 문제 - 배치들 사이에서의 사건 - 둔스 스코투스 ‘이것’ - 무의식과 욕망 ㆍ제12강 기억을 넘어선 되기들 I - 바이스만의 생식질 개념 - 탈기관체: 탈아적 알, 강도적 유아 - 토마스 하디의 『테스』에 나타난 결정론 - 로렌스: 생명은 탄력적이고 불연속적이다 ㆍ제13강 기억을 넘어선 되기들 Ⅱ - 『테스』를 읽는 다른 방식 - 글쓰기=되기 - 기억을 넘어선 되기 ㆍ제14강 절대적 탈영토화로서의 철학 - 들뢰즈/가타리의 『철학이란 무엇인가?』 - ‘절대적 탈영토화’로서의 철학에 정치적 과제 부과 - 철학, 현재에의 저항 - 새로운 베르그송주의
    GO